Nginx

NGINX 소개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84/4529

엔진엑스는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빠르게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다" 그냥 아파치와 똑같은 웹서버를 만들어주는 것이구먼요...

지금 어려운 점은... NGINX에서 자동으로 Logging을 남긴다고 하는데.. 그러면 애초에 Mobile에서 날라오는 정보에 리턴은 어떻게 돌려주지?

왜 새로운 계정을 만들라고 하는거지?

About Root The root user is the administrative user in a Linux environment that has very broad privileges. Because of the heightened privileges of the root account, you are actually discouraged from using it on a regular basis. This is because part of the power inherent with the root account is the ability to make very destructive changes, even by accident.

add user를 통해서 새로운 user를 만들어 낼 수 있음. 이 user는 굉장히 제한된 권한을 가지게 되는데, 이 사용자를 super-user로 만들어 줌으로써, sudo command를 통해 root에 상응하는 권한을 가지게 만들 수 있음.

NGINX

nginx 는 뭐지?

돌리는 건 어떻게든 하겠는데..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들이 많아 어떻게 NGINX에서는 return value를 정하지? JSON으로 아마 response 해줘야 할텐데.. Logging format은 어떻게 되는거지? POST는 어떻게 받고 이게 로그에는 어떻게 저장이 되는거지? - default에서는 안되는데.. NGINX랑 PHP는 도대체왜 같이 동작하는거지? 그러면 얘는 앞에서 proxy역할만 하는 경우인가? 어떻게 다시 시작하는거지? conf파일은 어떻게 하는거지? Lua랑은 어떻게 연결이 되는겨?

다시 시작하는 건 : /nginx -s reload

NGINX

nginx에서 sites-available은 뭐하는 곳이고 nginx.conf 랑은 무엇이 다르고 sites-enabled 는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일까?

DigitalOcean은 사용해서 ELK 스택을 설치함. Kibana가 설치되면서 nginx의 sites-available이라는게 생기면서 kibana가 default를 대체하고 있네?

만약에 내가 새롭게 하나의 conf 파일을 생성하려고 하면 sites-available에 넣으면 되나?

기본 파일은 /etc/nginx/nginx.conf 파일이다. 이 설정 파일 안에 보면 "include /etc/nginx/sites-enabled/*;"

이런 표현이 딱 있는데, 저게 바로 다른 host 파일들을 가리키는 거지.

그렇다면 vhost란 무엇인가?